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전국 대학교의 개강이 연기되었지만 끝난 것이 아니었습니다.
대학은 전국 각지, 심지어 해외에서 학생들이 유입되기 때문에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인강은 들어봤어도 대학에서 온라인 강의라니!!
사이버 강의, 일명 싸강으로 진행되는 몇몇 대학 수업이 있긴 했지만,
이렇게 모든 강의가 온라인 강의가 되는 사이버 대학은
건국 이래 어떤 세대도 겪어 보지 못했기 때문에
대체 어떻게 진행이 된다는 것인지 궁금하실 겁니다.
그래서 제가 직접! 저희 학교 포탈에 들어가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우선 연세대학교는 2020년 3월 28일까지 대면 강의를 중단하고,
한시적으로 모든 강의를 비대면·온라인 방식으로 시행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코로나 19 확산 및 캠퍼스 상황에 따라 추후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는데요,
한 학기 일괄 사이버 강의가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음으로는 사이버 강의 일정 및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강 전까지 그냥 넋 놓고 있으면 안 된다는 말씀!
개강 전 사이버 강의 준비 일정과 유의 사항을 꼭 꼼꼼하게 확인해주세요!
3월 9일까지는 교수님들이 준비해야 하는 사항이니 PASS! 하고
우리는 3월 10일부터 집중하면 됩니다.
3월 10일에 꼭 연세대학교 YSCEC에 올라오는 공지를 확인하고, 수업을 준비하면 됩니다.
사이버 강의로 변경되면서
현재 에브리타임(일명 에타)과 포탈에 등재된 수업 계획서에서
변동되는 사항들을 공지하는 날이니
꼭! 확인해서 성적 처리 기준과 과제, 시험 일정을 확인해야겠죠?
다음으로는, 개강 후 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개강 후에는 준비해야 하는 교재 혹은 PDF 파일을 구비한 채 온라인 상으로 강의를 수강하면 됩니다.
연세대학교는 교육부의 규정에 따라 강의를 진행할 것이며
모든 강의에는 교육부의 규정에 따른 출석 기준이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리해보자면, 출결은 전자출석부 기록으로 진행되며
강의 분량은 1학점 당 1회 50분 이내입니다.
25분 이상의 동영상 강의 + 질의응답 및 온라인 토론으로 50분 구성이기 때문에
그 비율은 과목별로 달라질 것 같습니다.
통상적으로 1학점 = 1주일에 한 시간 수업
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1학점 당 50분 내외라면
부담이 되는 정도는 아닌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수강 방법을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학교의 포탈 시스템이 과연 현재 개설된 8천여 개의 강의를 모두 지원할 수 있을까요?..
당연히 한계가 있겠죠.
그래서 A안에서 E안까지 설정해 놓았다고 합니다.
A. 간편 강의 녹음 / 녹화
자료 제시와 함께 강의 내용을 녹음/녹화해
YouTube 또는 Google dirve에 업로드한 후
녹음/녹화 파일이 있는 위치를 YSCEC에 공지하는 방법입니다.
YSCEC자체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 공지용으로만 YSCEC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버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이네요 ㅎㅎ
A 안은 또다시 2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A1.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녹화
여러분 ~ 중학교 때 거꾸로 교실 해보셨나요??
저희 중학교는 거꾸로 교실을 진행했었는데
이 A1 방법이 그때 사용한 방법이네요 ㅎ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음성과 함께 녹화하는 방법입니다.
그렇게 업로드된 동영상을 시청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A2.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강의실에서 촬영
빈 강의실에서 평상시처럼 교수님이 강의를 하시고
그 모습을 수업조교가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방식입니다.
인강과 같은 형태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장비가 조금 떨어진다는 차이가 있겠죠.
이 방법도 마찬가지로 업로드 된 동영상을 시청하면 되는 것입니다.
B. 실시간 화상강의
줌(ZOOM)의 화상강의 솔루션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교수님께서 화상강의 고유 링크를 생성한 후
그 링크를 YSCEC에 게시하거나
메일, SNS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공지하면
학생들은 컴퓨터, 모바일,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공지된 링크 주소로 실시간 화상강의에 접속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ZOOM이라는 화상 앱을 설치해야 한다고 합니다.
ZOOM에서는 컴퓨터 화면 공유가 가능해
강의노트를 화면에 띄우고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필기가 안 보이는 일은 없겠네요 ㅎㅎ
실시간으로 학생들과 상호작용 하면서 강의를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교수님께서 사용하신다면 정신을 바짝! 차리고
수업시간을 지켜야겠습니다.
C. 대형 강의 사전 녹화 (수강생 150명 이상)
채플 같은 대형 강의에 해당하는 방법입니다.
대형 강의도 A 또는 B의 방법으로 비대면·온라인 강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더 완성도가 높은 강의를 제작하고자 하는 교수님들은
두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C1. 대형 강의실 촬영
이전에 살펴보았던 A2와 다른 점은 하나 장비입니다.
교수학습혁신센터 장비와 인력을 지원받아 강의실에서 강의를 촬영한다고 합니다.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조금 더 좋은 퀄리티의 강의를 받아볼 수 있겠네요.
하지만 학습 방법은 마찬가지로 업로드된 동영상을 시청하면 되는 것입니다.
C2. 스튜디오 촬영
이 방법 또한 마찬가지로 이전에 살펴보았던 A2와 다른 점은 두 가지, 장비와 강의 장소입니다.
이 방법으로 촬영한 강의를 듣는다면 이것이야말로 인강이겠네요 ㅎㅎ
교수학습센터 스튜디오 내에서 촬영 인력의 도움을 받아 강의를 촬영한다고 합니다.
학습 방법은 업로드된 동영상 강의를 시청하면 됩니다.
D. 기존 강의 활용
위에서도 한번 언급했듯이 사이버 강의로 진행되는 몇몇 대학 강의들은 존재했습니다.
Flipped Classroom 등 기존에 온라인 강의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원은
기존에 준비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고 공지했습니다.
Flipped Classroom는 한국어로‘거꾸로 수업’입니다.
개인이 온라인으로 제공된 강의를 듣고
실제 수업 시간에는 토론을 진행하는 등
학생 중심의 수업입니다.
온라인 강의는 동영상으로 촬영된 파일을 업로드하고
토론 수업은 B의 실시간 화상 강의를 활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렇게 강의가 진행된다면 화상 강의 수업 시간 이전
꼭 업로드 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해야겠네요.
E. 기타
아이패드 화면 녹화
A1의 방법에서 컴퓨터 파워포인트가 아이패드로 바뀐 것뿐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업로드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면 됩니다.
여러분은 어떤 방법의 수업이 좋을 것 같나요?
화상 강의를 제외하고는
해당 강의를 들어야 하는 기간을 아직은 따로 공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3월 10일 공지 업로드 날을 잊지 말고 기억해 둡시다!
공지가 업로드되는 대로 정리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ㅎㅎ
그럼 연세대학교 학우 여러분 아프지 마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술마시기 전/후] 편의점숙취해소제 /숙취약 /술해독제 /숙취음료/ 숙취캔디 추천 (17) | 2020.03.20 |
---|---|
[2020.03.15 - 개강 D-1] 새내기 대학생의 개강준비과정 (9) | 2020.03.15 |
[수강신청] 대학교 수강신청 잘하는 방법 (올클 꿀팁) (1) | 2020.03.12 |
[수강신청] 시간표 짤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 총정리 (1) | 2020.03.11 |
[장학금] 연세대학교 장학금 총정리 (1) | 2020.03.10 |
[대학교 사이버 강의진행/YSCEC] 사이버 강의 출석 및 수강 방법 정리 (업데이트) (0) | 2020.03.07 |
[연세대학교는 귀족 학교?] 연세대학교의 등록금을 알아보자 (+ 신입생 등록금 납부 방법) (3) | 2020.03.06 |